모기와 벌은 알고 있다, 당신이 어디 있는지
장마가 끝나고 나면 모기가 더 극성을 부린다.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야외로 나갈 일이 많은 만큼 벌에 쏘일 위험도 커진다. 모기나 벌은 작지만 예민하고 독해 방심하다가는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 벌에 쏘였을 때에는 벌침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거하는 응급조치가 필수다. 특히 예년보다 일찍 일본 뇌염주의보가 내려지면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모기와 벌은 당신의 위치를 알고 있다 =모기는 1~2m에서 사물을 겨우 감지할 수 있는 심한 근시지만 예민한 후각을 갖고 있다. 피부 분비샘에서 나오는 젖산ㆍ아미노산ㆍ요산ㆍ암모니아 등의 냄새를 맡고 선호하는 대상을 찾는다. 특히 젖산 냄새는 20m 밖에서도 맡을 수 있고, 이산화탄소 는 10m 밖에서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예민하다. 다른 부위보다 다리나 얼굴 쪽으로 모기가 몰려드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다리 부위에 상대적으로 젖산이 많이 분비되고, 코를 통해서는 이산화탄소가 나오기 때문이다.
우흥정 한강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체질적으로 이런 성분이 다른 사람보다 많은 사람이 모기에 잘 물린다"며 "모기는 좀 더 체온이 높은 사람을 좋아하는 만큼 몸이 뚱뚱한 사람도 모기의 표적이 된다"고 말했다. 뚱뚱하면 신진대사가 활발해 열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또 계속 움직이면 모기가 달려들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모기는 움직임에 더 민감하다. 수백개의 감지 센서를 갖고 있는 모기는 물체를 거의 모든 방향에서 정확히 인지하고 순간적으로 방향과 속도를 180도 바꿔 날 수 있다.
벌도 모기 못지않게 냄새를 맡고 접근한다. 따라서 향수나 강한 향을 갖고 있는 스킨로션 은 야외나들이를 갈 때는 피하는 것이 좋다. 벌은 시각도 예민하다. 금색 목걸이나 팔찌 등이 햇빛에 반사돼 빛나면 벌이 더 잘 몰려든다. 원색에 가까운 화려한 색상이나 무늬가 있는 옷, 몸에 밀착되기보다는 바람에 팔랑거리는 옷도 벌을 유혹할 수 있다.
▶모기는 예방, 벌은 응급조치가 최선책 =피를 빨고 있는 모기를 손바닥으로 내려치면 모기 몸에 묻어 있던 바이러스가 피부 속으로 침투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모기 물린 자리에 침을 바르기도 하지만, 이는 일시적으로 가려움을 없애주는 효과만 있을 뿐이다. 침 속의 세균이 상처를 악화시킬 수 있는 만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고 알칼리성 용액인 암모니아수를 바르는 것이 낫다.
낮은 온도에서는 모기의 활동이 둔화되는 만큼 시원한 곳을 찾고, 휴가지에서 야영을 한다면 반드시 모기장을 치고 자는 것이 좋다.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서는 여행지에서 노출 부위 피부에 바르는 모기약을 바르거나 해질 무렵부터 새벽녘 사이에는 긴 바지와 긴소매 옷을 입는다. 잠자리에 들기 전엔 반드시 샤워를 통해 땀 냄새를 씻어내는 게 필요하다.
해외여행을 하는 경우 말라리아에 주의해야 한다. 예방약은 떠나기 일주일 전부터 다녀온 후 4주간 먹어야 한다.
일본뇌염은 특히 아이들에게 위험하다. 뇌염을 일으키게 되면 모기에 물린 지 1~2주 후에 발열ㆍ두통 등의 증상이 시작되고, 마비나 경련, 심지어 발작까지 일어날 수 있다. 일단 발병하면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만큼 예방 백신을 맞는 것이 최선이다. 벌은 알레르기 질환(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음식 알레르기, 약물 알레르기, 아토피 질환)이 있을 경우 더 경계해야 한다. 벌에 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면 수십분 내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일단 벌에 쏘였다면 신용카드와 같은 평편한 물체로 표피를 긁으면서 제거해야 한다. 임경수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침을 통해 20분 정도 독액이 주입된다"며 "벌침을 족집게나 손톱으로 제거하다 보면 벌침에 있는 침낭(독주머니)을 집게 돼, 남아 있는 독이 일시에 몸으로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일시적인 통증이나 두드러기 증상에 더해 혀의 부종이나 호흡곤란, 복부 통증까지 느껴진다면 가능한 한 빨리 병원부터 찾아야 한다. 그 정도로 심각하지 않다면 침을 제거한 뒤에 얼음주머니로 독의 흡수를 막아준다.
'인연따라 > 월빙·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이 건강한 사람이 머리도 좋다. (0) | 2009.10.05 |
---|---|
음양탕(陰陽湯)을 아시나요? (0) | 2009.10.05 |
혼자 있을때 심장마비가 오면 (0) | 2009.10.05 |
우울증에 효과적인 10가지 방법 (0) | 2009.10.05 |
혈액 속 콜레스테롤 낮추는 음식 (0) | 2009.10.05 |